딥시크 관련 이슈 중국 AI 기업 ‘딥시크(DeepSeek)’가 저비용으로 강력한 AI 모델 ‘R1’을 선보이며 AI 업계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이에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31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비공개 회동을 갖고, AI 주도권 확보 및 대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를 논의했죠. 딥시크의 예상 밖 돌풍에 미국 정부는 고사양 반도체뿐만 아니라 저사양 반도체까지 중국 수출 제한을 검토 중입니다. 로이터통신은 엔비디아의 ‘H20’ 칩도 규제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습니다. 딥시크는 오픈AI의 챗GPT 개발비(약 1400억 원)의 5.6%인 78억 원으로 유사한 성능의 ‘R1’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2022년 출시된 구형 반도체 ‘H800..
로봇관련 이슈 [테슬라 옵티머스 로봇, 공장 테스트 진행] 일론 머스크가 공개한 테슬라의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Optimus)’가 실제 공장에서 테스트를 진행 중입니다. 기존 모델보다 개선된 손 동작과 보행 능력을 갖추었으며, 향후 대량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애플, 로봇 기술 연구 강화] 애플이 새로운 로봇 기술 개발을 위해 연구팀을 확장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주로 가정용 및 개인용 로봇 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향후 AI 기반의 혁신적인 제품이 등장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삼성전자, 가정용 로봇 ‘볼리’ 출시 예고] 삼성전자가 CES 2024에서 선보였던 가정용 로봇 ‘볼리(Ballie)’의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볼리는 AI를 기반으로 가정 내에서 사용자와 소..
양자컴퓨터 이슈 최근 국내나 미국의 양자컴 관련주들이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최고경영자)가 지난 8일 "유용한 양자컴 활용까지는 15년이 걸린다고 하면 이른 편이다. 30년은 늦은 시점일 것이고 많은 사람이 20년 정도로 생각할 것"이라고 발언하자 주요 관련주가 일제히 급락세를 나타냈습니다. 이날 미국주식 아이온큐는 39% 급락했고 리게티컴퓨팅, 디웨이브퀀텀, 퀀텀컴퓨팅 등도 하루 만에 30~40% 하락했습니다. 여기에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다시 한번 찬물을 끼얹었죠. 저커버크 CEO는 지난 10일 공개된 한 팟캐스트에서 "(양자컴이) 유용한 패러다임이 되기까지 10년 이상 걸릴 것이라는 게 많은 사람의 생각"이라며 황 CEO의 발언에 다시 한번 힘을 실었습니다 ..
유리기판 이슈 SKC는 지난 2021년 반도체 장비업체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AMAT)와 반도체 패키징용 유리기판 합작사인 앱솔릭스를 설립했습니다. 유리기판은 앱솔릭스가 세계 최초 상업화를 앞두고 있는 제품으로 플라스틱을 활용하는 기존 반도체 기판과 달리 유리를 원재료로 기판을 만드는데요. 플라스틱기판보다 두께를 줄여 얇게 만들 수 있고, 전력 소비는 기존 기판 대비 30% 이상 줄일 수 있습니다. 데이터 처리 속도도 빠릅니다. 유리기판의 이러한 특성이 AI를 비롯한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한 게임체인저로 꼽히는 이유인데요. 유리기판 수요처는 대규모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는 빅테크 기업과 고성능 반도체 제조사 등입니다. 미국 정부가 반도체 소재·부품업체로는 최초로 SKC의 투자회사..
비만치료제 이슈 10월 15일 '머스크 비만약'이라고 불리는 위고비가 국내 상륙을 합니다. 비급여 의약품이라 처방 가격은 의료기관 마다 다를 수 있고, 출하가격은 개당 37만 2025원 이라고 하네요. 위고비는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호르몬(GLP-1)과 유사한 성분 '세마글루타이드'로 만들어 졌고, 뇌 시상하부를 자극하고, 포만감을 유발해 식욕 억제 효과를 끌어내는 원리입니다. 임상시험 결과 주 1회, 68주간 투여했더니 체중이 14.9%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 규모는 110억 달러(약 15조 3천억원) 였습니다. 미국 일라이릴리의 ‘마운자로’도 지난 8월 식품의약품안전처 품목 허가를 받고 국내 출시를 준비 중인데요. 마운자로는 체중 감량 효과가 최대 22...
삼성전자가 어닝쇼크를 발표하면서 국내 시장 흐름은 좋지 않은데요. 오늘은 HBM관련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HBM이슈 우선 HBM이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연결해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고성능 제품입니다. HBM을 개발할 수 있는 기업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이 유일한데요. 삼성전자는 현재 SK하이닉스에 HBM개발 속도가 뒤쳐졌다고 평가 받고 있고, 이에 주가는 하방으로 가격조정을 보이고 있습니다. HBM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챗GPT 등 AI시대가 도래하면서 이고, HBM이 AI 반도체의 핵심 부품이기 때문인데요. 굴지의 빅테크 기업들이 줄서서 엔비디아의 AI칩을 사가고 있고, 그 엔비디아의 AI칩에 HBM이 필요합니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와 ..
※ 자세한 내용은 뉴스기사 원문을 참고하시기를 권합니다. 오늘은 게임 관련 뉴스를 체크하기에 앞서 원화의 약세에 대해 짚어봐야겠다. 원화는 이달 들어 세계 주요국 통화 중 미국 달러화 대비 가장 약세를 보였다. 한국경제신문의 조사에 따르면 원화는 미국 신용등급이 강등된 1일~11일까지 3.4% (원달러 환율 상승) 하락했는데 주요원인은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이 약해졌기 때문이라는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뉴스를 읽고 환율을 살펴보니 1330.9원으로 아직 우려할 수준은 아니지만, 대외악재에 따라 흔들리는 국내 원화의 가치가 기업들에 영향을 미쳐 주식시장에도 반영이 될지 점검해봐야 할 변수라고 생각이든다. 전일 코스피 지수는 -0.79%, 코스닥은 -1.15%로 많은 종목들이 약세를 보이며 소폭 하락했다. 그럼..
오늘은 어제에 이어 중국 단체관광 관련주들이 장초반 좋은 움직임을 보였는데, 생각보다 시세가 그렇게 강하게 나지는 않는 것 같다. 2차 전지, 포스코 그룹주 이후 시장의 주도섹터 없이 여러 테마가 번갈아 가면서 시세를 주는 듯한 느낌이다. 사실 국내증시의 큰 변동성은 직장인들이 감당하기 좀 어렵다고 생각한다. 내 친구도 국내증시를 좀 경험해보고, 미국주식을 장기투자 하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하니 말이다.. 최근 로봇 관련주들을 좋게 보고 있는데 오늘은 로봇관련 뉴스를 살펴보자. 1. 삼성전자는 인간형 로봇을 중장기 목표로... 최근 이재용 회장의 지시로 삼성정자는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을 중장기 목표로 세웠다는 뉴스이다. 삼성전자는 오는 10월 5일 미국 실리콘벨리에서 인간에 근접한 '세미콘 휴..
어제는 바이오가 가는듯 하더니 중국 단체관광 재개로 오늘은 면세점, 화장품, 카지노 관련주들이 급등을 했다. 이렇듯 주식은 마녀의 장난처럼 변동성이 크다. 그중에서도 가장 강하게 시세를 주었던 섹터는 화장품이고, 화장품 관련뉴스를 체크하면서 시장주도 섹터가 될지 점검을 해봐야겠다. 그럼 뉴스를 한번 살펴보자. 1. 중국정부의 자국민 해외 단체여행 전면 허용 중국정부가 한/미/일 등 세계 78개국에 대한 자국민의 단체여행을 허용한다는 기사이다. 사드보복 이후 6년만이고, 중국과 한국은 매우 가까운거리에 있는 나라이기때문에 유커의 대규모 한국방문이 기대된다. 예전부터 관심이 있었는데, 한국의 화장품 산업은 해외에서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동남아시아나 중국, 일본인들이 한국에 방문을하여 가장 많이 사가는 제품..
국내의 인공지능 관련주 중 관심이 가는 몇몇 종목들이 있다. 나를 포함한 개미투자자는 최근의 초전도체 관련주의 크디큰 변동성을 감당하지 못할 것 같고, 관심이 가는 인공지능 관련산업을 조금 더 알아보고 싶다. 인공지능 관련주들은 올해초 챗GPT의 발명으로 미국의 엔비디아를 대장으로 국내 셀바스AI, 솔트룩스, 코난테크놀로지 등이 3배 넘는 상승을 보여주었던 섹터이다. 곧 네이버도 하이클로바X라는 초거대 AI플랫폼을 선보일 예정이고, 이러한 AI플랫폼에는 빠른 처리속도를 위해 슈퍼 그래픽처리장치인 GPU가 필요하고, GPU에는 차세대 고대역폭 메모리인 HBM이 필요하므로 관련 기업들도 주목을 받고 있다. 문제는 AI 섹터가 다시 갈 것이냐는 것... 8월초 시장의 수급이 2차전지에서 인공지능과 로봇으로 가..
안녕하세요. 수호삼촌입니다. 2022년도 이제 몇일 안남았는데요. 오늘은 2023년의 유망섹터를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 양자컴퓨터 양자 컴퓨터는 양자 역학의 원리에 따라 작동되는 컴퓨터인데요. 기존의 컴퓨터보다 정보 처리의 속도가 월등히 빠른 것이 장점입니다. 양자 컴퓨터가 실용화되면 지금의 슈퍼컴퓨터가 150년에 걸쳐 계산해야 할 것을 4분 만에 끝낼 수 있다고 하네요. 구글 등 글로벌 대기업들이 양자컴퓨터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에 2023년도에는 양자컴퓨터 관련주들이 좋은 흐름을 보이기를 기대해 봅니다. 2. 자율주행, UAM 자율주행 기술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으며 완전자율주행을 목표로 기술이 진화되고 있는데요. 운전자의 개입이 최소화되고 비상시에만 운전자가 대응하는 레벨3의..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